도움말:틀

해당 문서는 리브레 위키도움말: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한의위키에서는 여러 가지 을 사용하고 있다. 문서에 대한 주요 내용을 고지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여러 가지 스타일이 있다.

이 항목은 틀을 만들거나 사용하는데 참고가 되고자 만들어졌다. 현재 존재하는 틀 알람을 보려면 한의위키:틀 항목을 참고하자.

1 틀 종류[편집]

1.1 틀:고지 상자[편집]

이 문서는 이 없습니다.
잼이 듬뿍 들어간 글을 만드는데 당신도움이 필요합니다.

제목에 링크를 걸 경우 색이 달라지나 {{}} 틀을 사용해 링크 색을 제목과 통일해 사용한다.

1.1.1 고지상자 틀을 이용해 틀을 만드는 방법[편집]

혹시 필요한 틀이 있으신가요? 그럼 틀 ABCD를 만들다고 하면 틀:ABCD 문서를 만들어서 수정하시면 돼요. 한의위키의 틀에는 다양한 종류의 틀이 있지만, 이를 정리하면

그럼 일단 만들기 쉬운 고지상자 틀을 만들어 보자고요.

{{고지 상자
|테두리색 =
|배경색 =
|제목 =
|제목색 =
|내용 =
|내용색 =
}}

고지상자 틀을 이용해서 만든 틀로는 대표적으로 틀:군사 관련 정보가 있어요.이것의 정보는

<onlyinclude>
{{고지 상자
|배경색=#E8F5E93E
|테두리색=#2E7D32
|제목색=#2E7D32
|제목= [[파일:군사_리브렌_배경_수정.png|60px|left]]{{{1|이 문서는 군사 관련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내용= {{{2|국가 안보와 관련된 민감한 내용 기재에는 유의해주시고, 지나치고 세밀한 설명은 자제를 부탁드립니다.<br /><del>누군가가 당신덕분에 절대시계를 득템할지도 모릅니다</del>}}}
}}{{#if:{{{분류제외|}}}||{{분류|군사}}}}</onlyinclude}

여기서 #xxxxxx는 색상 코드를 의미해요.[1] 제목에 있는 [[파일:xxxx]]는 틀에 있는 리브렌의 이미지를 의미하고, 제목, 내용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할게요. 밑에 if가 들어가 있는대괄호가 보이는데, 이는

{{군사 관련 정보|분류제외=분류제외}}

라고 쓰시면 해당 문서는 분류:군사에서 제외가 돼요.

1.2 틀:둘러보기 상자[편집]

각 문서를 잇는 메타 틀이 필요할 때 이용한다. 분류:둘러보기 틀 참고.

1.3 틀:정보상자[편집]

정보상자 틀을 여러 개 쌓으면 훌륭한 우측 플로팅 상자 틀이 된다.

1.4 틀:알림바[편집]

하단 부착, 심플 틀에 어울리는 알림바 입니다.

2 틀 삽입[편집]

2.1 일반적인 삽입법[편집]

{{토막글}}


이 문서는 내용이 부족하거나 완성되지 않아 위키러님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누구든 토막글의 모든 내용을 과감하게 지우고 처음부터 작성할 수 있습니다.
따뜻한 기여의 손길이 문서를 살리고 세상을 살리고 위키를 살립니다!

대다수의 둘러보기 들, 단순 정보 제공 틀은 저렇게 한 줄만 집어넣으면 넣은 자리에 출력됩니다. 문서 내용에 관한 주의, 경고, 정보 틀은 한의위키: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2 매개변수가 있는 틀[편집]

3 틀 생성[편집]

어떤 문서A 내에서, 문서A의 밖에 있는 다른 문서B의 내용을 불러와 문서A 안에 그대로 보여주는 것을 '끼워넣기'라고 부릅니다. 틀이란 방금 예시에서 B의 역할, 즉 다른 문서들에 끼워넣어질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특수한 문서들을 말합니다. 틀을 사용하면 어떤 문서에서든 동일안 내용을 일관성 있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모니위키에도 같은 개념이 있습니다.

틀을 사용하는 방법(=틀 안에 있는 내용을 끼워넣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 사이에 틀의 이름을 넣으면 됩니다. 즉, {{틀 이름}}을 틀 내용을 보여주고 싶은 곳에 작성하면 됩니다.

※표에서 사용한 {|, |}와 이후 설명할 매개 변수를 나타내는 기호인 </code>, <code>와는 다릅니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1번의 내용

''틀 내용이 여기에 이렇게 끼워 넣어 집니다!''

{| class="wikitable"
| 표나 사진 등등
| 틀 안의 내용이 몽땅
|-
| 같이 끼워 넣어
| 집니다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가나다라마바사

{{도움말 예시 1번}}

ABCDEFG

가나다라마바사

틀 내용이 여기에 이렇게 끼워 넣어 집니다!

표나 사진 등등 틀 안의 내용이 몽땅
같이 끼워 넣어 집니다


ABCDEFG

이런 틀 문서를 만드는 방법 자체는 간단합니다. 검색창에 틀:(원하는 이름)을 검색하고 붉은 글씨를 클릭해 만들면 됩니다. 일반적인 새 문서를 만드는 방법과 완전히 같습니다.

해당 틀 문서에 대한 설명문서는 {{틀 설명문서}}를 <noinclude></noinclude> 태그 안에 서술하시면 됩니다. 이외에<noinclude></noinclude>안에 있는 내용은 틀을 삽입할 때 출력되지 않는 것을 이용해서 틀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틀에 대한 부가적 설명을 쓰실 수 있습니다.

해당 틀을 삽입할 때 자동으로 특정한 분류 안에 넣기 위해서는 <includeonly></includeonly> 태그 사이에 해당 틀을 삽입할 때 넣고 싶은 분류를 쓰시면 됩니다. 그밖에 분류를 선택하거나 제거하는 옵션을 넣고 싶을 때에는 if 파서 함수와 "분류제거" 변수명을 활용해서 {{#if:{{{분류제거|}}}| |[[분류:(원하는 분류명)]]}}를 includeonly 태그 안에 삽입하면 됩니다. 이때에 틀에 분류제거=예 등을 입력하면 분류가 제거되고, 분류제거 변수를 입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분류가 붙게 됩니다.

4 매개 변수를 이용해서 틀 만들기[편집]

틀에서는 매개 변수(parameter)라는 특별한 기능을 이용해서 훨씬 기능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매개 변수란, 쉽게 말해 틀에서 사용하는 미지수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틀 안에 X라는 미지수를 만들어 두었다면 이후 다른 문서에서 X 자리에 대신해서 들어갈 문자열을 지정해 줄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이 기능을 이용하면 특정한 자리에 들어갈 문자열을 매 상황에 따라 바꿔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틀을 작성할 때, 매개 변수가 들어갈 곳은 변수 번호를 입력해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1이 첫 번째 매개 변수, 2가 두 번째 매개 변수, 3이 세 번째 매개 변수, ... 가 되는 식이며, 이 개수의 제한은 없습니다.
  • 다른 문서에서 틀을 사용할 때, 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을 지정하려면 틀 이름 뒤에 |를 사용해서 나타냅니다. {{틀 이름|{{{1}}}에 들어갈 내용|{{{2}}} 매개변수에 들어갈 내용|{{{3}}}에 들어갈 내용|...}}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바꿔 말하면, 첫 번째 칸에 들어간 문자열은 1의 자리에 들어가고, 두 번째 칸에 들어간 문자열은 2의 자리에 들어가고, 세 번째 칸에 들어간 문자열은 3의 자리에 들어가고, ... 의 식입니다.

말로 하는 것보다, 직접 보는 게 훨씬 좋겠네요. 일단 아래 예시를 봅시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2번의 내용

{| class="wikitable"
| {{{1}}}
| '''{{{2}}}'''
| style="color: red;" | {{{3}}}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4}}}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도움말 예시 2번|ㄱㄴㄷㄹ|ABCD|ㅏㅑㅓㅕ|abcd}}

ㄱㄴㄷㄹ ABCD ㅏㅑㅓㅕ
abcd

{{도움말 예시 2번|아침|점심|저녁|하루}}

아침 점심 저녁
하루


첫 번째 예시에서 {{도움말 예시 2번|ㄱㄴㄷㄹ|ABCD|ㅏㅑㅓㅕ|abcd}}와 같이 입력했으므로 틀:도움말 예시 2번1의 자리에 ㄱㄴㄷㄹ, 2의 자리에 ABCD, 3의 자리에 ㅏㅑㅓㅕ, 4의 자리에 abcd가 들어간 모습이 나타납니다.

두 번째 예시에서 {{도움말 예시 2번|아침|점심|저녁|하루}}와 같이 입력했으므로 틀:도움말 예시 2번1의 자리에 아침, 2의 자리에 점심, 3의 자리에 저녁, 4의 자리에 하루가 들어간 모습이 나타납니다.


|| 사이를 비워두면 해당 변수도 비워져서 나타납니다.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도움말 예시 2번|아침|점심||하루}}

아침 점심
하루

세 번째 변수 자리를 비웠기 때문에 3의 자리가 비워진 채로 나타납니다.


변수를 번호가 아닌 이름으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변수 이름와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을 지정할 때는 |(변수 이름)=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3번의 내용

{{{A}}} 더하기 {{{A}}}은 {{{무언가}}}


{{{B}}} 더하기 {{{B}}}도 {{{무언가}}}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도움말 예시 3번|A=일|B=이|무언가=귀요미}}

일 더하기 일은 귀요미

이 더하기 이도 귀요미


필요하다면 매개 변수를 구분하는 각각의 |를 한 줄 띄워서 사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이 길 때 이렇게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도움말 예시 3번
|A=일
|B=이
|무언가=귀요미}}

일 더하기 일은 귀요미

이 더하기 이도 귀요미


참고로, 변수 변호를 쓸 때에도 위와 같은 방법처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도움말 예시 2번
|1=아침
|2=점심
|3=저녁
|4=하루}}

아침 점심 저녁
하루

매개 변수안에 |를 사용해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이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대체할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기본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변수 이름|기본 값}}}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4번의 내용

{| class="wikitable"
| {{{A|A에 입력 안 됨}}}
|-
| {{{B|B에 입력 안 됨}}}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도움말 예시 4번
|A=사과
|B=오렌지}}

사과
오렌지

{{도움말 예시 4번
|A=사과}}

사과
B에 입력 안 됨

{{도움말 예시 4번
|B=오렌지}}

A에 입력 안 됨
오렌지

{{도움말 예시 4번}}

A에 입력 안 됨
B에 입력 안 됨

4.1 틀의 범위 지정[편집]

틀 문서에 부연 설명을 넣고자 할 때는, 틀로 쓰고 싶은 부분만 <onlyinclude>(틀 내용)</onlyinclude>로 감싸 주면 됩니다.

틀 작성
  • 틀 이름: 예제
  • 틀 내용: 운영자 OUT! 시민의 승리를 보여주마! <onlyinclude>{{{1}}}는 {{{2}}}보다 {{{3}}}고, {{{4}}}은 {{{5}}}에 대한 {{{6}}}이다. {{{4}}}으로 {{{1}}} {{{7}}}.</onlyinclude>
틀 사용
  • 다른 문서에서 입력: {{예제|운영자|유저|약하|혁명|복종|저항|축출}} 또는 {{예제|1=운영자|2=유저|3=약하|4=혁명|5=복종|6=저항|7=축출}}
  • 출력 : 운영자는 유저보다 약하고, 혁명은 복종에 대한 저항이다. 혁명으로 운영자 축출.

5 각주

  1. 색상코드에 대한 설명은 나무위키:헥스 코드를 참고해주세요!

틀:한의위키 도움말
틀:한의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