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fMRI를 활용한 연구== 1. Central nervous pathway for acupuncture stimulation: Localization of Processing with Functional MR Imaging of the Brain - Preliminary experience fMRI(뇌의 혈류변화를 관찰하는 MRI)관찰 하 족삼리(ST36)와 합곡(LI4)혈에 침치료를 시행한 예비 연구이다. 조금 오래된 연구지만 한번 가볍게 살펴볼만 하다. 여기선 족삼리를 자극할 때와 족삼리에서 2-3cm 떨어진 부위에최소자극(표피 층으로 얕게 자침)을 주었을 때 대뇌피질에서 다른 반응을 관찰한다. 또한 통증 억제 관련 부위 활성화에서도 차이가 관찰된다. 아주 명확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둘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Visualized Regional Hypodermic Migration Channels of Interstitial Fluid in Human Beings : Are These Ancient Meridians? 유효성이 높은 연구라고는 할 수 없지만, 간질액에서 확산되는 조영제로 경락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경혈과 비경혈 부위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관찰하니 경혈은 경락과 유사한 확산 양상을 나타내었다. 모수가 작아 엄청 의미있는 연구는 아니지만 경혈과 비경혈에서 차이를 관찰한 점은 눈여겨볼만 하며 시도 자체는 나쁘지 않다는 평가. 3. Combining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to Explore Function-Guide Action of Acupuncture Using fMRI 연관 연구이다. fMRI로 관찰하며 광명(GB37)과 교교신(KI8)에 침 자극을 가한다. 이 연구에서는 특이하게도 서로 다른 대뇌피질 영역의 활동이 관찰된다.광명혈은 후두엽, 그러니 시각 정보가 처리되는 영역특이성을 보인 반면 교신혈은 기억과 통증의 감정적 요소에 관여하는 섬엽과 해마에서 특이성을 보인다. 광명혈이 전통적으로 안병에 사용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고무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4. Verum and sham acupuncture exert distinct cerebral activation in pain processing areas: a crossover fMRI investigation in healthy volunteers 비교적 최근(2014)에 발표된 연구이다. 뇌는 진짜와 가짜 혈자리에 다르게 반응할까?라는 의문으로 시작한 연구. 마찬가지로 fMRI로 관찰한다. 결과는? 뇌에서 나타나는 반응처가 다르다. 이번에는 내정(ST44)에 자침하고 대조군으로 3-4지 사이를 자침했는데 말이다. 바로 인접한 부위임에도 다른 반응이 나타났다. 요약: 한의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한의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