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플라시보 연구의 대조군 설정 문제= 침 임상연구가 플라시보 대조군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Sham acupuncture가 연구되었다. 침치료 연구에 대한 비판은 진짜 침 치료가 거짓침 치료에 비해 효과가 좋다는 유효성을 보여주지 못하는 논문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면 거짓 침이 무처치군에 비해 더 좋은 효과를 보여주는 것들은 어떤 의미인가? 이런 과정에서 기존 연구설계들에 대조군 설정의 문제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의과 치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지적인 부분이 치료에 개입하는 것이 자명하고 이를 잘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채윤병 경희대 교수의 기고글이 있다.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88 관련기사]]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32744 관련기사]] 실제로 경희대 경혈학교실 연구진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big>How Placebo Needles Differ From Placebo Pills?</big>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syt.2018.00243/full 논문링크]][[http://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15346 관련기사]] [[파일:drugandacupuncture1.jpg]] 채 교수에 따르면 플라시보 침은 먼저 약물에서와 같이 조건화된 반응을 유도하는 조건화된 자극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플라시보 약과 달리 분명한 촉각 자극을 준다. 플라시보 침은 촉각자극을 통해 치료를 받는다는 기대감을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시보 약에 비해 높은 플라시보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는 것. [[파일:drugandacupuncture2.jpg]] 또 플라시보 침은 플라시보 침을 진짜 침으로 믿게 하도록 개발된 방식이어서 침술 치료를 받는 동안 경험하는 독특한 촉감은 플라시보 침 시술을 받을 때에도 상당하다. 다시말해 약물 치료는 진짜 약을 받았다고 믿을 확률이 50:50으로 설정되고 실제로 그렇게 믿게 되지만 플라시보 침은 플라시보 침을 시술받은 경우에도 진짜 침을 시술받은 것 처럼 믿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진짜 침을 시술받았다고 믿게 된다. 플라시보 효과가 결국 치료에 대한 기대감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플라시보 침이 플라시보 약에 비해 높은 플라시보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요인이 된다는 얘기다. 이러한 두가지 요인 때문에 플라시보 침은 플라시보 약과 본질적으로 다른 특성으로 보다 높은 플라시보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플라시보 침의 특성을 무시한 채, 침의 환자 보고 유효성 연구에서 실제 침이 플라시보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잘못된 결론이기 쉽다. 요약: 한의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한의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